[기획보도] 평창군 환경 예산 488억 원 삭감…청정도시 위상 흔들리나
2025년 평창군 본예산에서 환경 분야 예산이 전년 대비 488억 원 이상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산은 전년 대비 6.32% 줄었지만, 환경 분야는 그보다 훨씬 큰 폭인 34.34%가 줄어들면서 지역 사회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장 큰 감축은 상하수도 및 수질 개선 예산으로, 2024년 1,037억 원에서 2025년 673억 원으로 무려 364억 원이 줄었다. 이는 수질개선특별회계의 452억 원 삭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정화조 정비, 오수관 확충, 노후 상수도 교체 등 정주 여건 개선에 필요한 인프라 사업들이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자연환경 보호 예산도 38.20%가 줄었다. 2024년 64억 원 규모였던 예산은 2025년 39억 원으로 줄어들며, 생태 복원, 숲 보전, 야생동물 서식지 관리 등 주요 사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환경보호 일반’ 항목도 230억 원에서 135억 원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탄소중립 대응, 기후 위기 적응, 환경 교육 같은 장기 전략 사업들이 단기적 긴축 기조 속에서 후순위로 밀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폐기물 관리 예산 역시 소폭이지만 감액됐다. 90억 원 규모였던 예산이 86억 원으로 줄며, 마을 단위 분리배출 시스템 강화나 친환경 처리 설비 도입 등에 차질이 예상된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평창은 청정 자연을 기반으로 한 도시인데, 예산 기조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구 유입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환경 기반 투자는 오히려 늘려야 할 분야”라고 강조했다.
2025년 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평창군은 관광·교통 예산을 늘려 외부 유입 기반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보였지만, 정작 ‘머무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핵심인 환경 인프라에는 소홀한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단기 재정 균형도 중요하지만, 평창이 지속가능한 도시로서 생존하려면 환경 예산을 투자로 인식하는 전략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