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원특별자치도, 2025년 미래산업·민생안정·교통망 확충으로 대도약 선언"

뉴스/주요뉴스

by (Editor1) 2025. 1. 19. 15:22

본문

300x250
반응형

강원특별자치도, 2025년 신년 계획 발표

미래산업 육성과 민생안정으로 강원의 대도약 선언

강원특별자치도가 2025년을 맞아 도정 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을 담은 신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새로운 자치권을 활용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들로 구성됐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2025년을 강원의 도약의 해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아 ‘개신창래(開新創來)’, 즉 “새로운 길을 열고 미래를 창조한다”라는 도정 방향을 제시했다.

미래산업 중심지로의 도약

강원도는 첨단 기술과 지속 가능한 산업 기반을 구축해 미래산업 중심지로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반도체, 바이오헬스, 수소, 미래차, 푸드테크 등 5대 미래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바이오헬스 특화단지를 조성하여 강원을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제1호 수소특화단지 운영을 통해 수소경제를 선도하고, 푸드테크 산업을 통해 강원의 농업과 첨단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겠다는 비전도 제시됐다.

사통팔달 교통망 구축

교통 인프라 확충은 강원도가 2025년 주력할 또 다른 핵심 과제다.
GTX 강원권 연장과 제천 - 삼척 고속도로와 동서고속화 철도 사업을 조기 착공해 물류와 관광 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교통망 확충은 강원도의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강원을 사통팔달의 교통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규제 혁신과 경제 활성화

강원특별자치도는 자치권을 활용해 농지·산림·주거·산업 규제를 혁파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규제 완화는 도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적 혜택과 함께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생경제 안정과 일자리 창출

도는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소상공인과 농어민 지원 정책을 대폭 강화한다.
소상공인을 위한 자금 지원과 경영 안정화 정책이 시행되며, 반값 농자재 지원 사업을 확대해 농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첨단 산업 기반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의 활력을 더할 계획이다.

환경과 관광 산업 육성

강원의 청정 자연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정책도 이번 계획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K-연어 프로젝트’**를 통해 고성을 세계적인 연어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녹색 성장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통해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를 병행할 방침이다.

도민과의 소통 강화

김 지사는 도민과의 소통을 도정 운영의 중요한 축으로 삼고 있다. 매월 시행되는 ‘도민 속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도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그는 “정책은 현장에서 시작된다. 도민들과 함께 강원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한 의지

김진태 도지사는 “628년 만에 부여받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자치권을 적극 활용해 도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겠다”며, “2025년을 강원의 대도약의 해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이번 신년 계획을 통해 미래산업 육성과 민생 안정, 교통망 확충, 규제 혁신 등을 추진하며, 도민의 삶을 개선하고 강원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역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